국내 광고 상품
home
전체 광고 상품
home

[파루미로그] 25년 6월 4주차

코덕 파루미가 직접 기록하는 한 눈에 보는 뷰티 트렌드 소식
6월 4주차의 파루미로그 : #맨즈뷰티 #PDRN신제품 #6월콜라보팝업 #K웰니스

파루미가 선정한 주간 뷰티 트렌드

관리하는 MZ 남성들을 잡아라! 모든 커머스가 주목하는 맨즈뷰티

최근 국내 남성 뷰티 시장이 4년간 약 13%, 총 1조 1210억원의 규모로 성장하며 주목받고 있어요!
특히 MZ세대 남성들을 중심으로 ‘그루밍(grooming)’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단순히 외모 관리를 넘어 자신만의 스타일과 매력을 찾아가는 남성 소비자들이 늘어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뷰티 업계에서도 기초 화장품을 넘어 색조와 다양한 관리 용품으로
남성 소비자 성향에 맞춘 전략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올리브영은 최근 홍대 매장에 남성 특화 매장 ‘맨즈에딧’을 오픈하여 스킨케어, 쉐이빙, 패션 등
다양한 제품군을 체험해 볼 수 있는 큐레이션 기반의 라이프스타일 공간을 조성했어요.
다이소는 아모레퍼시픽과 협업해 ‘프렙 바이 비레디’라는 맨즈 뷰티 브랜드를 선보이며 제품군을 확장했고,
무신사는 어퓨와의 협업을 통해 메이크업과 스킨케어 기능을 하나로 합친
‘맨즈 스킨케어링 메이크업’ 라인을 단독으로 출시하며 남성용 뷰티 라인을 확대했죠.
편의점 업계도 남성 그루밍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는데요!
CU는 SNP와 협업으로 남녀 공용 올인원 로션을 출시하고,
GS25는 남성용 기초 화장품을 70여 종까지 늘리는 등 수요에 발맞춰 빠르게 움직이고 있어요.
여성 소비자 중심으로 형성 되었던 화장품 시장의 경계가 점차 허물어 지고 있는 요즘,
또 어떤 새로운 브랜드와 차별화된 전략이 남성 소비자의 마음까지 사로 잡을까요?

주목해야 할 주간 신상품 트렌드

에이지투웨니스
벨벳 헤이즈 블러셔
맑고 촉촉하게 블렌딩 되어 보송하게 마무리 되는 블러셔
루리디아
샤이닝 모먼트 케어링 립밤
식물성 장미 PDRN이 함유된 주름 개선 및 재생 케어 립밤
더레이디
포어 더블 리커버리 바나티놀 크림
바나나, 레티노에이트 성분을 담은 모공 케어 크림
비원츠
씨위드 PDRN 글로우 필오프 젤리 마스크
완도 김에서 추출한 비건 PDRN이 함유된 젤 마스크
아모스프로페셔널
폴리시 텍스처라이저 끈적임 없는 스플릿 텍스처로 유연한 셋팅력을 가진 크림
얼터너티브스테레오
블러싱 펜던트 나만의 취향으로 만드는 A-Z 커스텀 립앤치크

마케터에게 추천하는 파루미 Pick! 요즘 뜨는 팝업

아이레시피 별빛 스튜디오

25.06.20 - 25.07.01
월-일 : 11:00 - 19:00
서울 성동구 연무장길 81 무신사 뷰티 스페이스
오직 팝업에서만 만날 수 있는 리틀트윈스타 굿즈부터 아이레시피의 베스트 조합까지!

살롱 드 츠바키 in 강남

25.05.31 - 25.06.30
월-목 11:30 - 19:30 / 금-일 : 13:00 - 20:00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429 올리브영 3층
헤어 고민에 맞는 츠바키 맞춤형 솔루션과 체험 키드 증정 이벤트까지 경험 가능한 공간

Dr.G X 이영지 팝업스토어

25.06.01 - 25.06.30
월-일 : 11:00 - 20:00
서울 마포구 홍익로6길 57 올리브영 홍대타운
NEW 글로벌 엠버서더 이영지와 함께 닥터지 레드 블레미쉬 라인을 만나볼 수 있는 팝업

파루미와 빠르게 읽어봐요! 3줄 요약 뷰티 뉴스

한국 Z세대 유행하더니, 日 젊은 층 휩쓴 K뷰티 트렌드?
‘진격의 K뷰티’ 중국으로 유럽으로 글로벌 재도약 노린다
CJ올리브영, 건기식·이너뷰티 K웰니스로 확산
(1) 일본 Z세대 여성들 사이에서 귀여운 키링 화장품이 개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아이템으로 주목받으며, 기능성보다 소장 가치를 중시하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다.
(2) 조사에 따르면 Z세대의 36%가 키링 화장품에 관심을 보였고, 립·블러셔·향수 등 작고 휴대성 높은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3) 이러한 흐름은 SNS와 인플루언서 영향력, 쁘띠 뷰티 트렌드와 맞물려 K-뷰티의 일본 시장 진출에 새로운 기회 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25.06)
(1) 올해 1분기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12.7% 증가한 25억8000만 달러, 5월 수출은 10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K-뷰티의 글로벌 수요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
(2) 이는 K-뷰티가 단순 수출에서 벗어나 브랜드 가치와 현지화 전략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3) 중국 소비 회복세에 맞춰 상하이 공장 재가동 등 글로벌 수요 증가와 함께 중국·유럽 시장에서 K-뷰티의 장기 성장 가능성이 더욱 주목 받고 있다.
출처 : 뉴데일리 (25.06)
(1) CJ올리브영은 올해 1~5월 외국인 고객의 웰니스 제품 매출이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으며, 이너뷰티·건강기능식품·W케어·덴탈케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2) 푸드올로지, 비비랩, 오쏘몰 등 주요 브랜드 제품과 함께 비타민 샷, 캐릭터 협업 상품 등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외국인 고객의 취향에 맞춘 맞춤형 매장 구성도 강화 중이다.
(3) 올리브영은 K뷰티에 이어 K웰니스 확산을 위해 중소 웰니스 브랜드와의 협업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출처 : 이코노미스트 (25.06)
*각 이미지 클릭 시 뉴스 원문으로 이동